[집밥] 실패없는 청국장 찌개 끓이기, 만드는법

반응형
반응형

누가 끓여도 실패없는 초간편 돼지목살 청국장 찌개 끓이기, 만드는법, 황금 레시피 소개글


실로 오랜만에 집에서 "청국장"을 끓였습니다.

 

마트에서 국산콩 발표 청국장 250g을 사와서, 애호박 반개, 파 반줄기, 청양고추 세개, 두부 한모, 표고버섯 두개, 돼지목살 200g 을 재료로 준비하였습니다. 이 정도 재료면 4인분 한끼 청국장이 만들어 집니다.

치커리는 청국장을 만들고 비빔밥 용으로 준비한 채소입니다.

 

 

 

 

일단 라면 한개 끓이는 분량보다 조금 많은 물 600ml를 냄비에 담고 끓여줍니다.

 

 

 

 

청양고추와 애호박, 대파 그리고 표고버섯은 청국장에 잘 어울릴 적당한 크기로 썰어둡니다.

 

 

 

 

냄비에서 물이 끓기 시작하면 만능 멸치육수 세 큰술을 넣어주고 살짝 밑간은 해줍니다.

 

 

 

 

그리고 된장찌개용 된장 한 큰술을 먼저 풀어줍니다. 

청국장만 넣으면 간이 잘 안맞기 때문에 저는 이 된장찌개용 된장을 사용합니다.

나중에 간이 모자라면 추가로 더 넣어줘도 됩니다.

 

 

 

 

그리고 청국장 250g을 냄비에 넣어줍니다.

 

 

 

 

아직 덩어러져 있는 청국장을 계속 조리해주면서 풀어줘야 합니다.

 

 

 

 

청국장을 넣어준 냄비에 손질해 둔 채소들을 다 넣어주고 함께 끓여줍니다.

청국장은 오래 끓이기보다 재료가 딱 익을정도로만 끓여주면 됩니다.

 

 

 

 

가스불을 중불로 해주고 청국장을 냄비에서 잠시 끓여둡니다.

 

 

 

 

 

 

 

 

갈은 돼지고기를 사용해도 되는데 마침 집에 돼지목살 200g이 있어서 가늘게 썰어주고 청국장에 넣어줬습니다.

 

 

 

 

청국장이 끓고있는 냄비에 돼지목살 투하!!

 

 

 

 

그리고 돼지목살이 익을때까지 중불로 한소큼 더 끓여줍니다.

 

 

 

 

찌개용 두부를 먹기좋은 크기로 잘라주고 청국장 냄비에 넣어줍니다.

 

 

 

 

이 상태에서 가스불을 세게 켜주고 두부에 열기가 전해질때까지 팔팔 끓여줍니다. 두부를 넣은 후 간을 보고 간이 모자라다고 생각되면 된장찌개용 된장을 반 큰술에서 한 큰술 넣어주고 맞춰주면 됩니다.

집에 푹 익은 김치나 묵은지가 있으면 양념을 물기에 씻어주고 청국장에 두부 양만큼 넣어줘도 아주 특별한 청국장이 됩니다.

 

 

 

 

완성된 청국장을 냄비 그대로 밥상으로 옮겨도 되고 먹을만큼 덜어담아 옮겨줘도 됩니다.

 

 

 

 

간단하게 차린 한상입니다.

 

 

 

 

뚝배기에 담아낸 돼지목살이 들어간 청국장 입니다.

 

 

 

 

푸짐한 재료들과 자박한 국물이 일품입니다.

 

 

 

 

 

비빔밥 용으로 따로 준비한 참기름 둘러준 고추장 입니다.

 

 

 

 

제 밥그릇에는 한쪽에 치커리를 잘게 잘라서 밥과 함께 놓아두었습니다.

 

 

 

 

 

 

 

 

제 취향에 맞춰 조금은 슴슴하게 만든 돼지목살 청국장은 그냥 먹어도 짜지않고 구수하니 맛있습니다.

 

 

 

 

치커리를 함께 담아둔 밥그릇 위로 청국장을 듬뿍 부어주고 참기름 고추장도 한 큰술 담아줬습니다.

 

 

 

 

 

숟가락과 젓가락으로 밥을 잘 비벼주고..

 

 

 

 

 

듬뿍 퍼서 먹으면 됩니다.

정말 오랜만에 먹는 청국장 비빔밥 입니다. 보리밥이었다면 더 맛있었을 것 같지만 흰 쌀밥으로도 충분히 만족스러웠습니다.

 

 

 

 

앞서 말한것처럼 간을 슴슴하게 만들어서 청국장 그대로 듬뿍 퍼서 먹어도 구수한 맛이 일품입니다.

 

 

 

 

청양고추의 매운맛이 살짝 포인트가 되어서 더욱 매력적인 청국장 이었습니다.

 

 

 

 

오랜만에 끓인 청국장으로 아주 만족스럽게 한끼 해결..

 

 

 

 

이상 실패없는 청국장 찌개 끓이기, 만드는법 후기 였습니다.

 

 

반응형

댓글

Babziprer(밥집러)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Designed by JB FACTORY